반응형 정수4 무리수와 실수 2023. 4. 24. 유리수 유리수는 뭘까요? 유리수 또한 간단합니다. 이것 하나만 알면 됩니다. 바로...분수 ab 꼴로 나타나면 모두 유리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예를 들어서, 정수는 분수 꼴로 나타날까요? ->네...0 = 01 ,1 = 11 , 2 = 21, 3 = 31 ...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수 또한 분수 꼴로 나타날까요? ->네...0.1 = 110 ,0.2 = 210 ...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분수들은 분수 ab 꼴로 나타나기에 모두 다 유리수라고 말합니다. 위의 내용을 간단하게 그래프로.. 2023. 2. 5. <절대값> 절대값이란 원점(0)으로부터 의 거리를 절대값이라고 부릅니다 절대값의 기호는 | a | 라고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3과 -3의 절대값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절대값의 성질 | a | 가 다음 3가지의 성질에 따라 전혀 다른 성향을 나타낸다. 1) a > 0 일 경우, | a |는 a 를 나타낸다. 2) a =0 일 경우, | a |는 0을 나타낸다. 3) a < 0 일 경우, | a |는 –a를 나타낸다. 앞서 안내해드린 절대값의 성질을 이해하기 어렵죠? 또… 문자로 표현하니깐, 너무 어렵게 다가오실 거에요. 앞으로 제가 이야기 드리는 것은, 모든 수학 문제를 푸실 때 응용이 가능하신 것 입니다. 절대값은…무조건 양수로 표현을 하는 성질을 나타낸다. (이것의 한 예로는, 우리가 해저를 표현할 때는 지.. 2023. 2. 4. 정수 정수라고 그냥 부르면 왠지 엄청 어려운 수학적 내용일 것 같이 느껴 지시죠? 그런데, 정수는 아주 간단 중에 엄청 간단합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말하는 숫자를 수학자들이 굳이 양의 정수라고 이름을 붙인 것 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말로 자연수라고 명명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수학자들은 양의 정수…곧…+의 개념과 반대로 음의 정수인 –개념도 있다고 믿고 있었고,이것이 수학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수학자들은 이렇게 명명하기로 약속을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양의 정수…곧 자연수처럼 음의 정수도 똑같이 숫자로 존재 할 것이다. 따라서, 수학자들은 0이란 숫자는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의 정 가운데, 기준점이 되는 숫자이고, 이 0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갈수록 숫자가 커지는 숫자를 양의 정수라고 말하고, 왼.. 2023. 2. 3. 이전 1 다음 반응형